기사상세페이지
학생자치활동 지도 경험 풍부한 현장교사들이 전담팀 이뤄 초등, 중·고등 2종으로 개발…
학생자치활동의 효과적인 운영방법과 다양한 사례 담아내
학생자치활동의 효과적인 운영방법과 다양한 사례 담아내
이번 안내서는 학생 자치활동 지도 경험이 풍부한 현장교사들이 전담팀을 이뤄 초등, 중·고등 학교급별 2종으로 맞춤형 자료를 개발했으며, ▲학생 자치의 역할 및 필요성 ▲학생자치활동의 조직 및 구성 방법 ▲학생회 행사 기획 과정 및 다양한 사례 제시 ▲학생들의 의견을 모으는 의사결정 방법 ▲학생회의 다양한 정책을 결정하는 과정 및 참여 방법 등에 관한 내용을 담았다.
특히, 소규모 학교가 많은 초등학교의 상황을 반영하여 다모임의 의미와 운영방법을 제시했고, 대면·비대면 혼합 회의 진행 방법 및 사례 또한 담아내 다양한 상황에서도 효율적으로 학생자치활동을 운영할 수 있도록 했다.
김지철 교육감은 "우리교육청은 학생들이 학교 의사결정 과정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며 삶의 주체성을 강화하고, 학생자치를 궁극적으로 실현할 수 있도록 충실히 지원해왔다.”며, "이번에 보급된 학생자치활동 안내서를 통해 학생들이 개인의 삶과 공공의 문제에 대해 고민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의사결정 방법을 탐색해 볼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많이본뉴스
많이 본 뉴스
- 1충남도의회, 선비의 청렴한 삶 배우다
- 2세종시의회, 청소년 선진 정책 도입 연구모임
- 3충남문화관광재단, 장애예술 거점 창작공간 운영 국비 2억 원 확보
- 4김동빈 세종시의회 부의장, 마을안길 통행 갈등 현장 찾아 소통
- 5충청광역연합의회 제5회 임시회 초광역행정산업위원회 열어
- 6오세현 아산시장 취임 100일, 눈부신 성과로 50만 자족도시 ‘성큼’
- 7충남교육청, 작은학교로 찾아가는 연수…지속성장 기반 마련
- 8이장우 대전시장, “경제 대전환” 올인…취임 3주년 시민과의 대화
- 9이장우 시장, 대전 이제 “청년만 뜨면 된다”
- 10대전시의회 김민숙 의원,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AI 시대 필수 미래 역량”
게시물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