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05-14 09:08

  • 맑음속초20.4℃
  • 맑음13.1℃
  • 구름많음철원12.6℃
  • 맑음동두천15.1℃
  • 맑음파주14.1℃
  • 맑음대관령16.8℃
  • 맑음춘천12.8℃
  • 구름조금백령도13.7℃
  • 맑음북강릉24.8℃
  • 맑음강릉24.7℃
  • 맑음동해23.1℃
  • 맑음서울17.7℃
  • 맑음인천19.3℃
  • 맑음원주15.6℃
  • 맑음울릉도20.6℃
  • 맑음수원17.2℃
  • 맑음영월13.7℃
  • 맑음충주14.6℃
  • 맑음서산17.4℃
  • 맑음울진23.7℃
  • 맑음청주17.6℃
  • 맑음대전16.7℃
  • 맑음추풍령14.5℃
  • 맑음안동15.9℃
  • 맑음상주15.3℃
  • 구름조금포항20.1℃
  • 맑음군산18.1℃
  • 맑음대구18.9℃
  • 맑음전주19.6℃
  • 맑음울산19.2℃
  • 박무창원17.7℃
  • 맑음광주18.3℃
  • 연무부산18.4℃
  • 맑음통영16.4℃
  • 맑음목포17.8℃
  • 박무여수16.2℃
  • 구름조금흑산도17.6℃
  • 구름조금완도17.2℃
  • 구름조금고창19.0℃
  • 맑음순천13.6℃
  • 맑음홍성(예)17.5℃
  • 맑음15.5℃
  • 구름많음제주18.6℃
  • 구름많음고산19.7℃
  • 구름조금성산19.0℃
  • 구름조금서귀포19.9℃
  • 흐림진주14.9℃
  • 맑음강화18.4℃
  • 맑음양평13.9℃
  • 맑음이천14.7℃
  • 맑음인제12.2℃
  • 맑음홍천12.8℃
  • 맑음태백21.2℃
  • 맑음정선군12.3℃
  • 맑음제천13.9℃
  • 맑음보은12.9℃
  • 맑음천안14.7℃
  • 맑음보령20.4℃
  • 맑음부여14.2℃
  • 구름조금금산15.0℃
  • 맑음16.1℃
  • 맑음부안18.1℃
  • 맑음임실14.6℃
  • 맑음정읍18.8℃
  • 맑음남원14.9℃
  • 맑음장수12.5℃
  • 맑음고창군19.3℃
  • 구름많음영광군17.9℃
  • 맑음김해시17.4℃
  • 맑음순창군14.1℃
  • 맑음북창원18.1℃
  • 맑음양산시16.7℃
  • 맑음보성군15.6℃
  • 맑음강진군15.6℃
  • 맑음장흥15.6℃
  • 맑음해남18.6℃
  • 맑음고흥16.2℃
  • 맑음의령군13.8℃
  • 맑음함양군12.9℃
  • 맑음광양시17.7℃
  • 맑음진도군18.9℃
  • 맑음봉화12.6℃
  • 맑음영주15.7℃
  • 맑음문경15.9℃
  • 맑음청송군14.6℃
  • 맑음영덕21.8℃
  • 맑음의성15.2℃
  • 맑음구미18.0℃
  • 맑음영천17.3℃
  • 맑음경주시17.9℃
  • 맑음거창14.3℃
  • 맑음합천14.7℃
  • 맑음밀양17.3℃
  • 맑음산청13.2℃
  • 맑음거제17.4℃
  • 맑음남해15.9℃
  • 박무18.0℃
기상청 제공
시사캐치 로고
충남도, 청년정책 기초자료 나왔다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뉴스

충남도, 청년정책 기초자료 나왔다

‘2022 충청남도 청년통계’ 발표…청년인구 57만 4978명 집계

[시사캐치] 충남도는 15일 청년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2022 충청남도 청년통계’를 발표했다. 


  충남 청년통계는 2018년에 최초 작성한 이후 올해 3회차로, 통계청을 비롯한 중앙부처·공공기관 등의 통계자료를 입수·가공해 생산했다.


  이번 청년통계는 지난해 11월 1일 기준 도내 거주하는 만 19∼39세 청년을 대상으로 했으며, △인구·가구 △경제 △일자리 △창업 △복지 △건강 등 6개 부문의 실태를 담았다.


  조사 결과, 지난해 기준 도내 만 19∼39세 청년인구는 도 전체인구의 26.4%인 57만 4978명으로 최근 3년간 청년 인구수는 감소 추세이다.


  도내 청년인구는 남성 31만 6407명(55.0%), 여성 25만 8571명(45.0%)이며, 청년인구 성비(여성 100명당 남성 수)는 122.4명으로 나타났다.


  청년인구 중 외국인 인구는 5만 5586명으로 청년인구의 9.7%에 해당하며, 국적별로는 베트남 국적 청년인구가 1만 132명으로 가장 많았다. 


  타 시도에서 전입한 청년인구는 5만 8923명, 전출한 청년인구는 6만 1106명으로 집계됐고 주된 이동 사유는 직업이며, 도내 청년의 주된 전입·전출 지역은 수도권으로 조사됐다.


  19∼39세 모(母)의 출산율은 해당 연령 여성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 43.7명으로 2015년부터 지속 감소하는 추세이며, 청년 혼인율과 이혼율도 해당 연령 1000명당 건수가 2017년 대비 모두 감소했다.

  

청년 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67.0명으로 2013년 72.7명 대비 감소했으나 2020년 62.8명에 비해서는 증가했다.


  청년 가구는 도 전체 가구 94만 7235가구의 23.6%인 22만 3967가구이며, 집단시설 가구 등을 제외한 일반 가구는 21만 189가구이고 이 중 1인 가구가 53.4%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인구 중 주택을 소유한 청년의 비율은 16.3%(8만 7025명)이며, 청년 가구의 월평균 소득수준은 200∼300만 원 미만이 27.1%로 가장 많고 월평균 소비수준은 100∼200만 원 미만이 32.0%로 가장 많았다. 


  청년 가구의 주요 부채 이유는 주택 임차 및 구입이 75.0%로 가장 많았고 기타 생활비(교육·의료비 제외)가 9.0%, 사업·영농 자금이 6.1%로 뒤를 이었다.


  지난해 청년 취업자는 상반기 36만 3000명, 하반기 37만 9000명으로 집계됐고 청년 고용률은 상반기 63.0%로 전국 64.6%보다 낮았으나 하반기는 66.5%를 기록해 전국 66.1%보다 높게 나왔다.


  직업별 취업자는 기능·기계조작·조립 종사자가 상반기 27.2%, 하반기 25.1%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상반기는 관리자·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21.2%), 하반기는 사무 종사자(21.2%)의 비중이 높았다.


  청년 구직자의 구직 희망 직종은 경영·회계·사무 관련직이 30.2%로 가장 많았고 월평균 희망 임금은 200∼250만 원 미만이 33.8%로 가장 많았다. 


  도내 청년 구직자의 80.8%는 도내에서 근무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타 지역 비중이 큰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청년 실업급여 수급 인원은 2만 88명으로 2019년보다 3637명 증가했으며, 1인당 수급 금액은 632만 1000원으로 2019년보다 135만 9000원 늘었다.


  2020년 말 청년 등록사업자는 5만 4491명으로 청년인구의 9.2%이며, 청년이 2020년 한 해 동안 신규로 등록한 사업체는 8730건, 폐업한 사업체는 1만 2455건을 기록했다.


  청년 기초생활보장 수급 인구는 청년인구의 1.5%(8364명), 청년 차상위 및 한부모가족 수급 인구는 청년인구의 1.0%(5906명), 청년 장애인 등록 인구는 청년인구의 1.8%(1만 412명)로 나타났다. 


  국민연금 가입 인구는 32만 1450명(55.9%)이며, 이 중 5년 미만 가입 인구가 17만 9496명으로 가장 많고 5년 이상 10년 미만이 8만 9915명으로 뒤를 이었다.


  건강보험 적용 인구는 55만 1172명이며, 직장가입자는 28만 2484명(51.3%), 직장가입 피부양자는 13만 9115명(25.2%), 지역가입자는 12만 9573명(23.5%)으로 나타났다.


  주요 만성질환 진료 통계를 보면, △정신질환(3만 815명) △신경질환(2만 1368명) △간질환(1만 5518명) △갑상선질환(1만 1933명) △고혈압(1만 1255명) △당뇨(8066명) 순으로 집계됐다.


  주요 암은 남성·여성 모두 갑상선암이 가장 많았고 남성은 백혈병, 대장암, 위암 순으로, 여성은 유방암, 자궁암, 대장암 순으로 많았다.


  도는 이번 통계를 바탕으로 도내 청년 실태를 파악하고 청년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맞춤형 청년정책을 수립·시행할 계획이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