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11-29 03:44

  • 맑음속초2.0℃
  • 맑음-4.7℃
  • 맑음철원-4.4℃
  • 맑음동두천-3.1℃
  • 맑음파주-3.8℃
  • 맑음대관령-7.5℃
  • 맑음춘천-3.6℃
  • 구름조금백령도9.1℃
  • 맑음북강릉1.4℃
  • 맑음강릉3.2℃
  • 맑음동해1.3℃
  • 맑음서울0.6℃
  • 맑음인천1.6℃
  • 맑음원주-3.0℃
  • 맑음울릉도5.5℃
  • 맑음수원-1.6℃
  • 맑음영월-4.6℃
  • 맑음충주-3.7℃
  • 맑음서산-1.5℃
  • 맑음울진0.7℃
  • 맑음청주-0.2℃
  • 맑음대전-1.8℃
  • 맑음추풍령-4.8℃
  • 맑음안동-2.5℃
  • 맑음상주-3.1℃
  • 맑음포항2.3℃
  • 맑음군산-0.8℃
  • 맑음대구-1.5℃
  • 맑음전주0.2℃
  • 맑음울산1.0℃
  • 맑음창원3.5℃
  • 맑음광주1.2℃
  • 맑음부산5.0℃
  • 맑음통영3.1℃
  • 맑음목포3.2℃
  • 맑음여수5.8℃
  • 맑음흑산도8.0℃
  • 맑음완도1.8℃
  • 맑음고창-2.0℃
  • 맑음순천-3.4℃
  • 맑음홍성(예)-3.5℃
  • 맑음-3.5℃
  • 맑음제주6.0℃
  • 맑음고산8.4℃
  • 맑음성산4.6℃
  • 구름많음서귀포8.5℃
  • 맑음진주-2.8℃
  • 맑음강화-0.7℃
  • 맑음양평-2.2℃
  • 맑음이천-3.1℃
  • 맑음인제-3.7℃
  • 맑음홍천-3.4℃
  • 맑음태백-5.6℃
  • 맑음정선군-5.7℃
  • 맑음제천-5.3℃
  • 맑음보은-3.9℃
  • 맑음천안-3.6℃
  • 맑음보령0.8℃
  • 맑음부여-2.8℃
  • 맑음금산-3.4℃
  • 맑음-1.7℃
  • 맑음부안-0.6℃
  • 맑음임실-3.3℃
  • 맑음정읍-1.2℃
  • 맑음남원-2.3℃
  • 맑음장수-4.3℃
  • 맑음고창군-1.5℃
  • 맑음영광군-1.3℃
  • 맑음김해시1.7℃
  • 맑음순창군-2.7℃
  • 맑음북창원1.9℃
  • 맑음양산시0.5℃
  • 맑음보성군-0.4℃
  • 맑음강진군-0.8℃
  • 맑음장흥-2.5℃
  • 맑음해남-2.5℃
  • 맑음고흥-2.2℃
  • 맑음의령군-4.7℃
  • 맑음함양군-4.2℃
  • 맑음광양시2.4℃
  • 맑음진도군-1.3℃
  • 맑음봉화-6.3℃
  • 맑음영주-4.2℃
  • 맑음문경-3.3℃
  • 맑음청송군-6.2℃
  • 맑음영덕0.3℃
  • 맑음의성-4.7℃
  • 맑음구미-3.0℃
  • 맑음영천-3.9℃
  • 맑음경주시-3.4℃
  • 맑음거창-5.0℃
  • 맑음합천-2.3℃
  • 맑음밀양-1.0℃
  • 맑음산청-3.2℃
  • 맑음거제1.1℃
  • 맑음남해3.2℃
  • 맑음-0.8℃
기상청 제공
시사캐치 로고
오인철 충남도의원, “직업계고 취업지원 예산 매년 감소…청년정책 후퇴 우려”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뉴스

오인철 충남도의원, “직업계고 취업지원 예산 매년 감소…청년정책 후퇴 우려”

‘충남직업계고 희망날개 지원사업’ 3년간 77% 축소-
오 의원 “청년 예산은 소모가 아닌 지역의 미래를 위한 투자”

[크기변환]사본 -662166054_SIUOiKlz_f5732814696f920c6511d48bba2ce403004a9348.jpg


[시사캐치] 충남도의 직업계고 취업지원 정책인 ‘희망날개 지원사업’을 비롯한 관련 예산이 최근 3년간 대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도내 고졸 청년들의 안정적인 취업과 지역 정착을 지원하는 정책에 빨간불이 켜졌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충남도의회 오인철 의원(천안7·더불어민주당)이 청년정책관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충남 직업계고 희망날개 지원사업’ 예산은 ▲2023년 23억 700만 원 ▲2024년 21억 6,500만 원 ▲2025년 5억 1,600만 원으로 3년간 77%나 감소했다. 기업부담금은 ▲2023년 1억 9,300만 원 ▲2024년 1억 8,300만 원이었으나 2025년에는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

 

또한 ‘직업계고교생 지역정착 활성화 취업지원’ 사업 역시 2023년 23억 700만 원이 편성됐으나, 2024년부터는 예산 자체가 전무한 상황이다.

 

문제는 국비 감소가 도비 지원 축소로 직결되며 연쇄적 축소 효과를 낳고 있다는 점이다. 오인철 의원은 "중앙정부의 지원이 줄어들더라도 충남도가 청년 일자리와 지역 정착이라는 장기적 목표를 위해 자체 대응 전략을 마련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현장에서는 예산 축소로 인해 프로그램 운영이 위축되고, 학생들의 참여 기회가 줄어들고 있다는 우려가 이어지고 있다. 예산이 뒷받침되지 않은 청년 정책은 실현 가능성이 낮아 결국 지역 인재 유출을 막기 어렵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오 의원은 "청년 예산은 소모가 아니라 지역의 미래를 위한 투자”라며, "예산 삭감은 단순한 행정 조정이 아니라 충남 청년 인재에 대한 투자 중단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도는 국비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자체 예산 확보와 국비 복원을 위한 노력을 병행해야 하며, 실질적인 청년 지원 정책을 통해 지역 인재들이 충남에 머물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