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10-21 01:35

  • 구름많음속초9.9℃
  • 구름조금8.3℃
  • 맑음철원4.6℃
  • 구름많음동두천5.5℃
  • 구름많음파주3.4℃
  • 구름많음대관령5.5℃
  • 구름조금춘천8.8℃
  • 구름조금백령도10.0℃
  • 구름많음북강릉9.8℃
  • 구름많음강릉10.8℃
  • 구름많음동해10.2℃
  • 구름조금서울6.8℃
  • 구름많음인천6.7℃
  • 구름많음원주10.9℃
  • 비울릉도9.6℃
  • 구름많음수원7.4℃
  • 구름많음영월9.8℃
  • 흐림충주11.1℃
  • 구름많음서산8.8℃
  • 흐림울진11.2℃
  • 구름많음청주12.1℃
  • 구름많음대전11.6℃
  • 흐림추풍령11.5℃
  • 흐림안동10.3℃
  • 구름많음상주12.5℃
  • 흐림포항13.6℃
  • 흐림군산11.4℃
  • 구름많음대구12.2℃
  • 흐림전주12.0℃
  • 구름많음울산13.4℃
  • 구름조금창원15.1℃
  • 구름많음광주12.0℃
  • 구름조금부산15.2℃
  • 구름많음통영15.0℃
  • 구름많음목포12.5℃
  • 구름많음여수15.7℃
  • 구름많음흑산도14.2℃
  • 흐림완도13.0℃
  • 흐림고창10.9℃
  • 구름많음순천8.6℃
  • 구름많음홍성(예)8.8℃
  • 구름많음10.4℃
  • 흐림제주18.1℃
  • 흐림고산17.6℃
  • 구름많음성산17.6℃
  • 구름많음서귀포20.0℃
  • 구름많음진주11.8℃
  • 구름많음강화7.1℃
  • 구름많음양평10.2℃
  • 구름많음이천10.1℃
  • 구름조금인제8.2℃
  • 구름많음홍천9.3℃
  • 흐림태백7.4℃
  • 구름많음정선군9.0℃
  • 구름많음제천9.8℃
  • 구름많음보은12.1℃
  • 흐림천안10.7℃
  • 구름많음보령9.9℃
  • 흐림부여10.8℃
  • 흐림금산12.4℃
  • 구름많음10.7℃
  • 흐림부안12.4℃
  • 흐림임실10.8℃
  • 흐림정읍11.2℃
  • 흐림남원9.8℃
  • 흐림장수11.0℃
  • 흐림고창군12.0℃
  • 흐림영광군11.1℃
  • 구름많음김해시13.7℃
  • 구름많음순창군10.2℃
  • 구름조금북창원14.5℃
  • 구름많음양산시15.3℃
  • 구름많음보성군11.8℃
  • 구름많음강진군12.0℃
  • 구름많음장흥10.9℃
  • 구름많음해남9.8℃
  • 구름많음고흥10.4℃
  • 구름많음의령군10.0℃
  • 구름많음함양군10.6℃
  • 구름많음광양시14.3℃
  • 흐림진도군13.8℃
  • 흐림봉화8.7℃
  • 흐림영주10.3℃
  • 흐림문경10.7℃
  • 구름많음청송군9.8℃
  • 구름많음영덕11.6℃
  • 구름많음의성11.5℃
  • 흐림구미12.5℃
  • 구름많음영천10.5℃
  • 구름많음경주시13.3℃
  • 흐림거창10.0℃
  • 구름많음합천11.4℃
  • 구름조금밀양13.2℃
  • 구름많음산청10.8℃
  • 구름많음거제14.1℃
  • 구름많음남해14.8℃
  • 구름많음15.6℃
기상청 제공
시사캐치 로고
국립치의학연구원 최적지는 천안…전문가 한목소리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뉴스

국립치의학연구원 최적지는 천안…전문가 한목소리

국립치의학연구원 설립을 위한 정책 포럼’ 개최…최적의 입지 조건 재확인

f_치의학1.png


[시사캐치] 대한민국 치의학의 미래를 이끌 국립치의학연구원 설립지로서 충남 천안이 최적의 입지 조건임을 재확인했다.

 

20일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에서 국립치의학연구원의 성공적인 설립과 정착 방안 등을 논의하기 위한 ‘국립치의학연구원 설립을 위한 포럼’이 열렸다.

 

충청남도와 천안시가 주최하고 단국대학교가 주관한 이번 포럼에는 치의학계와 산업계, 연구기관 관계자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포럼에서는 이정환 단국대학교 교수가 ‘국립치의학연구원 필요성’을 주제로 발제했으며, 박영석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장은 주제 발제를 통해 ‘학계에서 바라는 치의학연구원의 모습’을 발표했다.

 

김철환 전 대한치의학회장이 좌장을 맡은 토론에서는 국립치의학연구원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한 요건 등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패널로 참여한 박영석 서울대 치의학대학원장, 박세희 강릉원주대 치과대학장, 고선일 단국대 치과대학장, 조인호 오스템임플란트 교육원장은 ▲산업·대학·연구소·병원의 유기적 협력 생태계 구축 ▲수도권 등과의 뛰어난 접근성 ▲풍부한 임상 인프라와 연계한 신속한 연구개발(R&D) 및 사업화 지원 ▲미래 인재 양성 및 확보의 용이성 등을 천안의 강점으로 꼽았다.

 

이들은 천안이 수도권과 충청권을 잇는 교통의 요충지이자, 우수한 대학·병원 인프라와 치의학 관련 기업이 집적된 지역이라고 평가했다.

 

천안은 판교테크노밸리, 오송첨단의료복합단지, 정부세종청사, 대덕연구개발특구로 이어지는 K-바이오 메가클러스터의 정중앙에 위치해 있으며 KTX와 SRT, 수도권 전철을 포함한 5개 고속도로 등 광역 교통망이 전국으로 통하는 교통 요충지다.

 

정부, 대학, 기업, 연구기관과 함께 연구부터 임상, 산업화까지 아우르는 확산형 거점으로 성장할 기반을 갖췄다.

 

연구와 평가·인허가, 생산, 디지털 헬스까지 국가 바이오·의료 혁신 인프라 전반이 1시간대 권역 내 직결돼 있어, 치의학연구원이 들어설 경우 성과를 전국적으로 확산하는 허브 역할을 할 수 있다.

 

앞서 천안시는 충남도, 단국대,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과 치의학 및 의료산업 발전과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으며, 충북 오송·강원 원주 등 치의학 및 의료산업 분야 초광역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천안에 국립치의학연구원이 설립되면 연구에서 산업화, 글로벌 진출까지 원스톱 지원 체계를 제공하게 된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