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무부와 긴밀하게 협력할 수 있는 앞으로 향후 거치에 대해서 김태흠 지사는 "법무부가 독자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 다만 여러 정보라든가 채널들을 가동 하면서 우리 충남 천안, 아산에 와야한다는 당위성과 장점, 유리한 부분들을 추진해 나가겠다. 한동훈 장관하고는 가끔 통화를 할 수 있는 인간관계이기 때문에 앞으로 이런 문제에 대해 더 추이를 보면서 강하게 입장을 전달할 수 있는 상황이 되면 전달을 하겠다”고 밝혔다,
출입국·이민관리청은 정부가 인구감소의 대안으로 이민 활성화를 위해 관련 정책을 총괄하는 기관으로, 범정부 차원의 통일된 정책을 신속하게 수립하고 추진하는 역할을 맡는다.
김 지사는 "청년 일자리에 대한 경쟁, 사회갈등 확대 등 이민의 부작용을 걱정하는 우려가 있는 것도 사실”이라면서도 "인구감소로 인한 지역소멸, 인력부족으로 인한 산업기반 붕괴 예방 차원에서 이민청 설립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다”고 말했다.
이민청의 천안아산역 지역 설립 당위성도 충분하다.
지난해 11월 기준 도내 외국인 주민 수는 13만 6006명으로 경기 75만 1507명, 서울 44만 2289명, 인천 14만 6885명에 이어 전국 4위 수준이다.
비수도권 중 가장 많은 외국인이 도내에 거주하는 것으로, 전체 도민 수 대비 외국인 주민 비율은 6.2%로 전국에서 가장 높다.
외국인 주민이 많은 수도권 일부 지자체에서 이민청 유치의 당위성을 제기하고 있지만, 지난 6월 재외동포청이 이미 인천에 설립된 만큼 충남 유치에 힘이 실리고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충남은 국토의 중심이자 고속철도(KTX) 등 교통이 발달해 전국 각지의 외국인들이 접근하기 좋은 지역이며, 이민청 신설에 따른 법무부 등 이전 대상 공무원들의 이주 선호도가 높아 부담감이 적은 것도 강점으로 꼽힌다.
김태흠 지사는 "앞으로 외국인근로자 지원팀 신설, 외국인유치센터 설치, 외국인유학생 지원 확대 등 외국인지원 정책을 강화하겠다. 이민청 설치를 위한 범도민유치위원회도 구성할 것”이라고 강력한 유치 의지를 밝혔다.
이어 "국가균형발전 측면에서 수도권에는 공공청사 신축이 제한돼 지방에 설립해야 하는데, 수도권과 인접한 천안·아산역이 최적지다. 충남은 타 지역과의 경쟁에서 결코 뒤지지 않을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