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11-28 23:03

  • 맑음속초3.2℃
  • 맑음-2.6℃
  • 맑음철원-2.5℃
  • 맑음동두천-0.7℃
  • 맑음파주-2.4℃
  • 맑음대관령-5.0℃
  • 맑음춘천-2.0℃
  • 구름조금백령도7.9℃
  • 맑음북강릉2.7℃
  • 맑음강릉5.2℃
  • 맑음동해3.2℃
  • 맑음서울1.5℃
  • 맑음인천2.3℃
  • 맑음원주-0.3℃
  • 구름조금울릉도6.0℃
  • 맑음수원0.3℃
  • 맑음영월-2.2℃
  • 맑음충주-1.8℃
  • 맑음서산-0.9℃
  • 맑음울진3.6℃
  • 맑음청주2.5℃
  • 맑음대전0.7℃
  • 맑음추풍령-2.2℃
  • 맑음안동0.5℃
  • 맑음상주-0.3℃
  • 맑음포항4.9℃
  • 맑음군산1.4℃
  • 맑음대구1.8℃
  • 맑음전주1.9℃
  • 맑음울산4.2℃
  • 맑음창원5.9℃
  • 맑음광주4.6℃
  • 맑음부산7.6℃
  • 맑음통영4.9℃
  • 맑음목포4.7℃
  • 맑음여수6.8℃
  • 맑음흑산도6.1℃
  • 맑음완도3.6℃
  • 맑음고창0.2℃
  • 맑음순천-1.1℃
  • 맑음홍성(예)-1.4℃
  • 맑음-1.9℃
  • 맑음제주7.3℃
  • 맑음고산7.9℃
  • 맑음성산6.8℃
  • 맑음서귀포8.9℃
  • 맑음진주0.3℃
  • 맑음강화0.9℃
  • 맑음양평0.0℃
  • 맑음이천-1.3℃
  • 맑음인제-2.1℃
  • 맑음홍천-1.2℃
  • 맑음태백-3.0℃
  • 맑음정선군-3.3℃
  • 맑음제천-3.2℃
  • 맑음보은-2.2℃
  • 맑음천안-1.6℃
  • 맑음보령1.8℃
  • 맑음부여-1.2℃
  • 맑음금산-1.1℃
  • 맑음0.4℃
  • 맑음부안2.0℃
  • 맑음임실-2.0℃
  • 맑음정읍0.3℃
  • 맑음남원0.2℃
  • 맑음장수-2.8℃
  • 맑음고창군0.5℃
  • 맑음영광군1.0℃
  • 맑음김해시4.5℃
  • 맑음순창군-0.4℃
  • 맑음북창원4.7℃
  • 맑음양산시4.0℃
  • 맑음보성군3.4℃
  • 맑음강진군2.5℃
  • 맑음장흥1.8℃
  • 맑음해남0.5℃
  • 맑음고흥0.8℃
  • 맑음의령군-1.4℃
  • 맑음함양군-1.7℃
  • 맑음광양시4.4℃
  • 맑음진도군1.2℃
  • 맑음봉화-4.1℃
  • 맑음영주-1.4℃
  • 맑음문경-0.6℃
  • 맑음청송군-3.5℃
  • 맑음영덕2.1℃
  • 맑음의성-2.2℃
  • 맑음구미0.1℃
  • 맑음영천-0.9℃
  • 맑음경주시-0.2℃
  • 맑음거창-1.4℃
  • 맑음합천0.5℃
  • 맑음밀양1.8℃
  • 맑음산청0.1℃
  • 맑음거제4.0℃
  • 맑음남해5.0℃
  • 맑음0.4℃
기상청 제공
시사캐치 로고
650년 은행나무 아래서 만나는 가을, 아산 맹씨행단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화

650년 은행나무 아래서 만나는 가을, 아산 맹씨행단

현존 최고(最古) 민가 ‘맹씨행단’, 황희·맹사성 함께 심은 나무도
30일까지 ‘신창맹씨 온양댁’ 특별전,

[크기변환]4. 650년 은행나무 아래서 만나는 가을, 아산 맹씨행단 (4).jpg


[시사캐치] 가을빛이 완연해지면 아산 배방읍에 자리한 맹씨행단은 온통 황금빛으로 물든다. 세종대왕 대 태평성대를 이끈 조선 초기 명재상, 고불 맹사성(孟思誠, 1360~1438)과 그의 아버지 동포공 맹희도(孟希道, 1337~?)가 기거하며 후학을 가르쳤던 곳이다.

 

맹씨행단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두 그루의 커다란 은행나무, 이른바 쌍행수가 방문객을 맞이한다. 맹사성이 직접 심은 것으로 전해지는데, 은행나무를 보호하기 위해 둘러싸인 축대와 단 역시 이때 함께 조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행단(杏壇)’은 공자가 은행나무 아래에서 제자를 가르쳤다는 고사에서 비롯된 말로, 맹사성 역시 이곳에서 후학을 길렀다고 한다.

 

조선 초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650년 넘게 이 땅의 역사를 지켜본 쌍행수는 매해 가을이면 어김없이 노란빛으로 물들어 건재함을 드러낸다. 지난여름 집중호우로 한 그루가 크게 손상되면서 올가을 단풍을 걱정하는 이들도 있었지만, 1987년 큰 수술을 이겨내고 다시 뿌리내렸듯, 이번 가을에도 당당히 잎을 틔웠다. 긴 세월 수차례 시련을 견뎌낸 은행나무의 생명력 앞에서 자연스레 숙연한 마음이 든다.

 

은행나무 옆에는 고려 말에 지어졌다는 고택이 자리한다.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민가 중 가장 오래된 집으로, 여말선초 민가 양식을 고스란히 간직해 문화유산으로서 가치가 매우 높다. 재상까지 오른 집안의 고택이라고 하기에는 구조와 규모가 놀라울 만큼 소박하다. 담백한 마루와 낮은 처마, 군더더기 없이 단정한 선에서 청백리로 이름 높았던 맹사성의 삶의 태도가 자연스럽게 읽힌다.

 

고택 뒤편으로 발길을 옮기면 맹사성과 그의 조부 맹유, 부친 맹희도 세 사람의 위패를 봉안한 사당 ‘세덕사(世德祠)’가 있다. 담장 밖 돌길을 따라 조금 더 걸으면 세종 때 삼정승(황희·맹사성·권진)이 함께 아홉 그루의 느티나무를 심었다고 전해져 이름 붙은 ‘구괴정(九槐亭)’에 닿는다. 공간마다 스민 사연을 찬찬히 더듬어도 많은 체력을 요하지 않는 동선이라, 천천히 걸으며 사색을 즐기기 좋다.

 

특히 가을이면 고택 마당에서 바로 마주 보이는 배방산이 울긋불긋 물든다. 고즈넉한 한옥 처마 아래, 단풍 든 배방산과 은행나무를 바라보는 시간은 이 계절에만 누릴 수 있는 작은 호사다.

 

고택을 한 바퀴 둘러본 뒤에는 맞은편에 자리한 고불맹사성기념관을 들러보자. 맹사성의 일대기와 유물, 그와 관련된 여러 설화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이곳에는 신창맹씨 대종회로부터 2018년 기탁받은 맹사성의 유품이 전시돼 있는데, 이 가운데 단연 눈에 띄는 것은 백옥으로 만든 횡피리다. 평생 가마 대신 검은 소를 타고 다니며 피리 부는 것을 즐겼다는 맹사성의 일화가 자연스럽게 떠오른다. 기념관 공원에는 소를 타고 피리를 부는 맹사성 동상도 세워져 있다.

 

기념관에서는 오는 11월 30일까지 ‘신창맹씨 온양댁’ 특별전이 열리고 있다. 2025~2026 아산 방문의 해를 맞아 대전시립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던 유물들을 대여해 선보이는 전시다.

 

전시 유물은 2011년 대전 유성구 안정 나씨 종중 묘 이장 과정에서 발견됐다. 명정에 적힌 ‘신창맹씨’라는 이름과 함께 출토된 여러 물품을 통해, 조선 초기 군관이었던 나신걸(羅臣傑, 1461~1524)에게 시집간 맹사성의 증손 맹석경의 딸 묘로 밝혀졌다.

 

이번 전시의 백미는 한글 편지다. 현재까지 나온 한글 편지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이다. 영안도(함경도)에서 근무하던 군관 나신걸이 집에 돌아가지 못하는 마음을 담아 맹씨 부인에게 보낸 것으로, 훈민정음 반포 불과 40여 년 뒤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한글이 조선인의 일상 언어로 빠르게 자리 잡았음을 보여주는 희귀 자료로, 학술·역사적으로 높은 가치를 인정받아 2023년 보물로 지정됐다.

 

이 밖에도 짧은 홑저고리, 옅은 하늘색이 남아 있는 솜치마, 옆트임이 있는 무명 바지, 쪽빛 장의 등 조선 전기 여성 복식과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부장품들이 함께 전시된다. 500년 전 한 여성의 일상과 품격, 정서가 옷감과 침구, 생활용품을 통해 만날 수 있다.

 

역사가 숨 쉬는 공간에서 가을의 낭만과 사색을 동시에 누리고 싶다면, 올가을 맹씨행단과 고불맹사성기념관으로 발걸음을 옮겨보는 건 어떨까. 쌍행수와 배방산 단풍이 곱게 물드는 지금, 특별전까지 함께 즐길 수 있어 더없이 풍성한 가을 나들이가 될 것이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