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11-28 21:03

  • 맑음속초5.3℃
  • 맑음-0.6℃
  • 맑음철원-1.2℃
  • 맑음동두천0.1℃
  • 맑음파주-1.2℃
  • 맑음대관령-2.5℃
  • 맑음춘천-0.3℃
  • 맑음백령도7.5℃
  • 맑음북강릉3.4℃
  • 맑음강릉5.6℃
  • 구름조금동해3.8℃
  • 맑음서울2.4℃
  • 맑음인천2.7℃
  • 맑음원주0.8℃
  • 구름조금울릉도6.5℃
  • 맑음수원1.4℃
  • 맑음영월-0.5℃
  • 맑음충주-0.5℃
  • 맑음서산1.9℃
  • 맑음울진2.8℃
  • 맑음청주4.6℃
  • 맑음대전2.5℃
  • 맑음추풍령-0.2℃
  • 맑음안동2.5℃
  • 맑음상주2.1℃
  • 맑음포항5.9℃
  • 맑음군산3.2℃
  • 맑음대구5.0℃
  • 맑음전주3.4℃
  • 맑음울산4.6℃
  • 맑음창원6.1℃
  • 맑음광주5.2℃
  • 맑음부산8.0℃
  • 맑음통영5.9℃
  • 맑음목포5.7℃
  • 맑음여수7.9℃
  • 맑음흑산도6.7℃
  • 맑음완도5.4℃
  • 맑음고창2.2℃
  • 맑음순천1.3℃
  • 맑음홍성(예)0.7℃
  • 맑음1.1℃
  • 맑음제주8.3℃
  • 맑음고산8.2℃
  • 맑음성산7.5℃
  • 맑음서귀포10.0℃
  • 맑음진주2.2℃
  • 맑음강화-0.1℃
  • 맑음양평1.9℃
  • 맑음이천1.4℃
  • 맑음인제-0.7℃
  • 맑음홍천-0.2℃
  • 맑음태백-1.9℃
  • 맑음정선군-1.2℃
  • 맑음제천-1.7℃
  • 맑음보은-0.3℃
  • 맑음천안-0.1℃
  • 맑음보령2.4℃
  • 맑음부여0.5℃
  • 맑음금산0.1℃
  • 맑음2.4℃
  • 맑음부안2.5℃
  • 맑음임실-0.4℃
  • 맑음정읍1.8℃
  • 맑음남원0.8℃
  • 맑음장수-1.6℃
  • 맑음고창군1.6℃
  • 맑음영광군3.0℃
  • 맑음김해시5.9℃
  • 맑음순창군1.4℃
  • 맑음북창원5.8℃
  • 맑음양산시4.6℃
  • 맑음보성군5.6℃
  • 맑음강진군5.3℃
  • 맑음장흥4.7℃
  • 맑음해남2.9℃
  • 맑음고흥4.0℃
  • 맑음의령군0.4℃
  • 맑음함양군0.6℃
  • 맑음광양시5.9℃
  • 맑음진도군2.2℃
  • 맑음봉화-2.1℃
  • 맑음영주2.1℃
  • 맑음문경0.8℃
  • 맑음청송군-1.7℃
  • 맑음영덕3.3℃
  • 맑음의성-0.3℃
  • 맑음구미1.5℃
  • 맑음영천1.2℃
  • 맑음경주시1.7℃
  • 맑음거창0.3℃
  • 맑음합천2.7℃
  • 맑음밀양2.9℃
  • 맑음산청2.2℃
  • 맑음거제5.1℃
  • 맑음남해5.6℃
  • 맑음3.4℃
기상청 제공
시사캐치 로고
2025 천안시 탄소중립 포럼’ 개최…비전과 전략 제시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뉴스

2025 천안시 탄소중립 포럼’ 개최…비전과 전략 제시

기후위기 적응을 위한 도시 그린인프라 구축방안’ 주제로

f_기후에너지과(2025 천안시탄소중립포럼 포스터).png


[시사캐치] 천안시는 천안시 탄소중립지원센터와 27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2025 천안시 탄소중립 포럼’을 개최했다.

 

탄소중립 포럼은 제1차 천안시 탄소중립기본계획(2025~2034) 수립에 따라 ‘탄소중립을 선도하는 지속가능한 친환경 녹색도시, 천안’ 비전 실현 전략과 이행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열렸다.

 

포럼에서는 기후변화 대응정책의 실천력 확보를 위한 ‘기후위기 적응을 위한 도시 그린인프라 구축방안’을 주제로 ‘천안시 기후위기 적응 탄소감축방안 그린인프라 정책’ 기조강연과 도시 기후위기 적응을 위한 물순환 정책, 친환경 노면표지 도료 적용사례 등이 제시됐다.

 

또 천안시 맞춤형 탄소중립 실현방안 논의와 함께 정책 제언 등 분야별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패널 토론도 진행됐다.

 

이동규 기후미래 공동대표는 "올해는 기후변화 파리협정 체결 10주년이 되는 해로서 기후위기 대응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함께 모여 현황을 점검하고 나아갈 방향을 논의하는 것에 의미가 있다”고 전했다.

 

이명열 농업환경국장은 "기후위기 적응은 더 이상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의 생존 전략이며 행정이 선도해야 할 시대적 과제”라며 "앞으로도 지역사회가 함께 참여하는 지속가능한 탄소중립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