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07-12 10:55

  • 맑음속초27.4℃
  • 맑음28.1℃
  • 맑음철원27.2℃
  • 맑음동두천28.8℃
  • 맑음파주27.6℃
  • 맑음대관령24.8℃
  • 맑음춘천27.4℃
  • 맑음백령도27.2℃
  • 맑음북강릉27.0℃
  • 맑음강릉28.2℃
  • 맑음동해27.3℃
  • 맑음서울30.6℃
  • 맑음인천31.2℃
  • 맑음원주28.3℃
  • 구름조금울릉도25.9℃
  • 맑음수원29.2℃
  • 맑음영월28.2℃
  • 맑음충주28.1℃
  • 맑음서산28.5℃
  • 맑음울진28.0℃
  • 구름조금청주29.1℃
  • 구름많음대전27.8℃
  • 구름많음추풍령25.1℃
  • 구름많음안동27.8℃
  • 구름많음상주26.7℃
  • 구름많음포항26.2℃
  • 구름많음군산28.0℃
  • 구름많음대구26.9℃
  • 구름조금전주30.8℃
  • 구름많음울산25.8℃
  • 구름많음창원27.6℃
  • 구름많음광주29.3℃
  • 구름많음부산28.0℃
  • 구름많음통영27.2℃
  • 맑음목포29.3℃
  • 구름조금여수26.1℃
  • 구름많음흑산도28.7℃
  • 구름많음완도30.9℃
  • 구름조금고창30.6℃
  • 구름많음순천25.9℃
  • 구름조금홍성(예)29.1℃
  • 구름조금28.3℃
  • 비제주24.2℃
  • 흐림고산26.1℃
  • 흐림성산25.3℃
  • 흐림서귀포25.4℃
  • 구름많음진주27.6℃
  • 맑음강화28.3℃
  • 맑음양평27.4℃
  • 맑음이천28.1℃
  • 맑음인제27.1℃
  • 맑음홍천27.6℃
  • 맑음태백25.7℃
  • 맑음정선군28.5℃
  • 맑음제천26.4℃
  • 구름많음보은25.8℃
  • 맑음천안27.4℃
  • 구름조금보령31.1℃
  • 맑음부여28.1℃
  • 구름조금금산27.7℃
  • 구름많음28.4℃
  • 맑음부안29.2℃
  • 구름조금임실28.0℃
  • 구름조금정읍30.8℃
  • 구름많음남원28.4℃
  • 구름조금장수27.2℃
  • 구름조금고창군30.2℃
  • 구름많음영광군30.5℃
  • 구름많음김해시27.7℃
  • 구름많음순창군27.9℃
  • 구름많음북창원29.6℃
  • 구름많음양산시28.5℃
  • 구름조금보성군28.8℃
  • 맑음강진군29.4℃
  • 맑음장흥29.8℃
  • 구름많음해남29.7℃
  • 구름많음고흥29.8℃
  • 구름많음의령군27.2℃
  • 구름조금함양군27.5℃
  • 구름많음광양시28.7℃
  • 구름많음진도군28.6℃
  • 맑음봉화27.3℃
  • 맑음영주27.2℃
  • 구름조금문경26.4℃
  • 구름많음청송군28.6℃
  • 구름조금영덕26.1℃
  • 구름조금의성27.8℃
  • 구름많음구미26.9℃
  • 구름많음영천25.5℃
  • 구름많음경주시26.1℃
  • 구름많음거창27.7℃
  • 구름많음합천27.3℃
  • 구름많음밀양29.8℃
  • 구름많음산청27.4℃
  • 구름많음거제26.6℃
  • 구름많음남해26.9℃
  • 구름많음29.4℃
기상청 제공
시사캐치 로고
순천향대 안욱 교수, 고 에너지 효율 전지 기술 개발…차세대 배터리 상용화 임박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교육

순천향대 안욱 교수, 고 에너지 효율 전지 기술 개발…차세대 배터리 상용화 임박

특정 질소 관능기가 부착된 흑연섬유 전극 소재를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에 적용해 고용량, 장수명의 차세대 전지 개발 상용화 앞당겨
국제학술지 Journal of Energy Chemistry 11월호에 게재

[크기변환][크기변환](사진2) 특정 질소 관능기 부착 전극 촉매 소재 합성 모식도.jpg

 

[시사캐치]순천향대(총장 김승우)는 에너지시스템학과 안욱 교수가 차세대 전지 시스템 상용화에 가장 큰 걸림돌인 발화 문제,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의 수명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고효율 전극 기술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현재, 배터리 시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ESS(Energy Storage System)기술은 리튬 기반 대용량에너지 저장장치로 저장용량이 크지만 높은 인화성과 낮은 수명이 문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계전해질을 이용하는 차세대 에너지 저장장치인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에 관한 관심이 매우 높다.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는 리튬이온전지와 비교해 인체 유해성, 인화성, 화학 반응성의 위험도가 낮아 안정적이며, 전지 수명이 20년 이상으로 긴 장점이 있다. 또한, 에너지를 직접적으로 저장하는 전해질 탱크 용량의 유연한 설계가 가능해 전지 용량의 한계가 없어 대용량에너지 저장장치에 유용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현재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고용량, 고출력의 전지 특성에 필수적인 높은 활성도를 갖는 전극 소재의 개발이 필요하며, 많은 연구자가 고효율의 전극 촉매 소재 개발 연구에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욱 교수 연구팀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임성남 책임연구원, 부산대학교 강준희 교수 연구팀과 함께 특정 질소 관능기(피리도닉 질소; Pyridonic Nitrogen)가 전해질에 녹아있는 바나듐의 산화/환원(V2+/V3+)에 높은 활성도를 나타내는 가설을 토대로 흑연에 특정 관능기를 부착하는 기술을 개발해 전지에 적용한 결과 고출력, 장수명의 전지 특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범밀도함수이론(DFT: Density Functional Theory)를 이용한 화학 계산식을 통해 특정 질소 관능기가 높은 반응성을 나타낸다는 것도 입증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그 우수성을 인정받아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용 특정 질소 관능기 부착 전기화학 금속 촉매 음극 기술 개발(Superior electrocatalytic negative electrode with tailored nitrogen functional group for vanadium redox flow battery)’이라는 제목으로 해당 분야 최고의 국제학술지인 Journal of Energy Chemistry (IF: 13.599, CHEMISTRY, APPLIED 분야 상위 0.68%, 2021 JCR 기준) 11월호에 게재됐다. 

 

교신저자인 안욱 교수는 "현재의 리튬이온전지를 넘어서는 용량 구현과 시장 확대를 목표로 저렴하면서도 제조성이 우수한 전극 소재를 개발하고자 많은 연구자가 노력하고 있다라며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전극 촉매 소재는 제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고효율의 전극을 제조할 수 있어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에 적용한다면 리튬이온전지와 가격경쟁력이 준수한 수준으로 상용화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