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의 대전은 교통과 주거 등 인프라 측면에서 살기 좋은 도시라는 이미지가 컸다. 그러나 지금 대전은 ‘기업 유치-대전 정착-결혼-육아-노인 복지’로 이어지는 정책을 연속성 있게 실현하며, 청년 세대에게 ‘살고 싶은 도시’라는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당당한 도시로 성장했다.
대전 청년 정책의 효과는 통계 지표에서도 명확히 드러난다. 통계청의 ‘인구 동향’을 살펴보면, 2024년 대전의 혼인 비율은 17개 시도 가운데 단연 압도적인 1위다.
2024년 인구 1,000명당 혼인 건수를 말하는 조혼인율에서 대전은 5.6건으로 세종과 서울을 제치고 전국 최고를 기록했다. 2023년과 비교할 때 혼인율이 전국 지자체 모두 증가한 보편적 추세라지만, 이 가운데서도 대전은 전국 평균인 0.6%보다 3배 이상 높은 1.9%가 증가해 결혼하기 좋은 도시의 명성을 굳히는 모습이다.
이 현상을 일시적인 효과로 보기에는 증가 폭이 월등히 높고, 2025년 현재까지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서도 "대전의 청년 정책이 통했다”라는 분석에 힘이 실린다.
대전시는 "수도권보다 잘 사는 지방도시”를 꿈꾼다.
대전시가 2026년까지 1조 567억 원을 투입해 ‘청년‧신혼부부가 살기 좋은 하니(HONEY) 대전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이유 역시 잘 사는 대전을 만들기 위해 청년 세대를 유입하겠다는 전략에서 출발한다.
프로젝트 가운데 가장 핵심 공약인 ‘결혼장려금’은 만 19~39세 신혼부부에게 1인당 250만 원을 지급하는 제도다. 대전에서 6개월 이상 거주한 혼인 신고자가 대상이다. 단 재혼이나 외국인은 제외다.
대전시의 결혼장려금은 전국 최초 도입한 것으로 결혼을 앞둔 청년 부부에게 살림 장만 등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됐다. 지난해 12월 시행 후 첫 지급이 완료된 가운데, 2025년 4월 기준 총 1만 2,346명에게 총 308억 6,550만 원이 지원됐다.
타 시도보다 선제적으로 추진되기도 했지만, 결혼장려금과 함께 청년주택 신혼부부 우선 분양 30% 상향, 민간사업 청년주택 의무 공급 3% 확대, 전세자금 대출이자 지원 등 연계성 있는 정책들이 동시에 추진돼 호응이 더욱 높다.
대전시는 청년 세대의 만남도 적극 주선하고 있다. ‘연(連) in 대전’, ‘소상공인 썸타자 시그널데이’ 등 대전 미혼남녀의 만남을 이어주는 오작교 이벤트를 진행하며 청년 세대의 핑크빛 미래를 응원하고 있다.
대전시가 산업단지를 확장하고 기업 유치를 적극 이행하는 것도 결국 청년 정책으로 귀결된다. 대전시는 양질의 일자리를 통해 청년이 찾아오는 대전을 만들겠다는 의지다.
민선 8기 들어 대전시는 세계적인 다국적 기업 머크와 SK온, LIG 넥스원, 코리아휠 등 국내‧외 기업 63개사와 1조 6093억 원 규모의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여기에 바이오, 양자, 로봇 등 첨단전략사업 분야의 기업 상장도 파죽지세다. 올해 3월 기준 대전의 상장 기업은 총 65개로 6대 광역시 가운데 인천과 부산에 이어 3위다.
대전 상장기업의 경쟁력은 국내 정상급이다. 알테오젠은 시가총액 약 21조 2,000억 원으로 코스탁 시총 1위고, 레인보우로보틱스와 리가켐바이오, 펩트론 등도 20위 권 내에 자리 잡고 있어 대전의 첨단 산업 경쟁력의 우위를 한 눈에 살펴볼 수 있다.
대전시 관계자는 "굵직한 대형 기업들이 대전으로 이전하고 경쟁력 있는 상장 기업이 늘고 있다. 청년 세대가 선택할 수 있는 직종의 범위가 확장될 것이고 이는 청년 세대가 대전에 정착하는 가장 큰 요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청년들이 일회성의 지원금이 아니라 대전에 정착해서 살아감을 전제로 할 때 살고 싶은 도시, 행복한 도시, 잘 사는 도시 대전의 이미지를 각인할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청년 정책을 만들겠다”라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