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11-14 11:39

  • 맑음속초13.7℃
  • 맑음8.1℃
  • 맑음철원8.4℃
  • 맑음동두천10.7℃
  • 맑음파주9.0℃
  • 맑음대관령7.5℃
  • 맑음춘천8.1℃
  • 맑음백령도12.6℃
  • 맑음북강릉14.8℃
  • 맑음강릉14.9℃
  • 맑음동해14.7℃
  • 맑음서울11.5℃
  • 맑음인천11.7℃
  • 맑음원주9.5℃
  • 흐림울릉도13.4℃
  • 맑음수원12.0℃
  • 맑음영월6.4℃
  • 맑음충주8.8℃
  • 맑음서산13.6℃
  • 구름많음울진16.0℃
  • 맑음청주11.4℃
  • 맑음대전12.6℃
  • 맑음추풍령10.6℃
  • 맑음안동9.8℃
  • 맑음상주12.7℃
  • 맑음포항14.6℃
  • 맑음군산12.8℃
  • 맑음대구13.8℃
  • 맑음전주11.7℃
  • 맑음울산15.0℃
  • 맑음창원13.5℃
  • 맑음광주12.7℃
  • 맑음부산16.0℃
  • 맑음통영15.7℃
  • 맑음목포12.7℃
  • 맑음여수13.1℃
  • 구름조금흑산도15.0℃
  • 맑음완도16.7℃
  • 맑음고창13.3℃
  • 맑음순천12.4℃
  • 맑음홍성(예)13.6℃
  • 맑음10.9℃
  • 맑음제주17.1℃
  • 맑음고산14.3℃
  • 맑음성산15.5℃
  • 맑음서귀포19.7℃
  • 맑음진주12.3℃
  • 맑음강화12.3℃
  • 맑음양평8.8℃
  • 맑음이천8.6℃
  • 맑음인제8.1℃
  • 맑음홍천5.7℃
  • 맑음태백11.3℃
  • 맑음정선군6.8℃
  • 맑음제천7.9℃
  • 맑음보은9.5℃
  • 맑음천안11.3℃
  • 맑음보령14.6℃
  • 맑음부여11.6℃
  • 맑음금산6.9℃
  • 맑음11.4℃
  • 맑음부안13.2℃
  • 맑음임실11.0℃
  • 맑음정읍12.5℃
  • 맑음남원11.3℃
  • 맑음장수10.7℃
  • 맑음고창군13.0℃
  • 맑음영광군12.8℃
  • 맑음김해시13.8℃
  • 맑음순창군11.2℃
  • 맑음북창원15.0℃
  • 맑음양산시14.9℃
  • 맑음보성군15.1℃
  • 맑음강진군14.0℃
  • 맑음장흥14.3℃
  • 맑음해남13.9℃
  • 맑음고흥14.7℃
  • 맑음의령군12.4℃
  • 맑음함양군13.0℃
  • 맑음광양시15.0℃
  • 맑음진도군13.6℃
  • 맑음봉화10.0℃
  • 맑음영주9.5℃
  • 맑음문경13.2℃
  • 맑음청송군9.9℃
  • 맑음영덕15.4℃
  • 맑음의성11.2℃
  • 맑음구미13.7℃
  • 맑음영천12.7℃
  • 맑음경주시13.9℃
  • 맑음거창10.6℃
  • 맑음합천11.8℃
  • 맑음밀양14.2℃
  • 맑음산청12.2℃
  • 맑음거제14.2℃
  • 맑음남해12.8℃
  • 맑음14.8℃
기상청 제공
시사캐치 로고
650년 은행나무 아래서 만나는 가을, 아산 맹씨행단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화

650년 은행나무 아래서 만나는 가을, 아산 맹씨행단

현존 최고(最古) 민가 ‘맹씨행단’, 황희·맹사성 함께 심은 나무도
30일까지 ‘신창맹씨 온양댁’ 특별전,

[크기변환]4. 650년 은행나무 아래서 만나는 가을, 아산 맹씨행단 (4).jpg


[시사캐치] 가을빛이 완연해지면 아산 배방읍에 자리한 맹씨행단은 온통 황금빛으로 물든다. 세종대왕 대 태평성대를 이끈 조선 초기 명재상, 고불 맹사성(孟思誠, 1360~1438)과 그의 아버지 동포공 맹희도(孟希道, 1337~?)가 기거하며 후학을 가르쳤던 곳이다.

 

맹씨행단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두 그루의 커다란 은행나무, 이른바 쌍행수가 방문객을 맞이한다. 맹사성이 직접 심은 것으로 전해지는데, 은행나무를 보호하기 위해 둘러싸인 축대와 단 역시 이때 함께 조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행단(杏壇)’은 공자가 은행나무 아래에서 제자를 가르쳤다는 고사에서 비롯된 말로, 맹사성 역시 이곳에서 후학을 길렀다고 한다.

 

조선 초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650년 넘게 이 땅의 역사를 지켜본 쌍행수는 매해 가을이면 어김없이 노란빛으로 물들어 건재함을 드러낸다. 지난여름 집중호우로 한 그루가 크게 손상되면서 올가을 단풍을 걱정하는 이들도 있었지만, 1987년 큰 수술을 이겨내고 다시 뿌리내렸듯, 이번 가을에도 당당히 잎을 틔웠다. 긴 세월 수차례 시련을 견뎌낸 은행나무의 생명력 앞에서 자연스레 숙연한 마음이 든다.

 

은행나무 옆에는 고려 말에 지어졌다는 고택이 자리한다.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민가 중 가장 오래된 집으로, 여말선초 민가 양식을 고스란히 간직해 문화유산으로서 가치가 매우 높다. 재상까지 오른 집안의 고택이라고 하기에는 구조와 규모가 놀라울 만큼 소박하다. 담백한 마루와 낮은 처마, 군더더기 없이 단정한 선에서 청백리로 이름 높았던 맹사성의 삶의 태도가 자연스럽게 읽힌다.

 

고택 뒤편으로 발길을 옮기면 맹사성과 그의 조부 맹유, 부친 맹희도 세 사람의 위패를 봉안한 사당 ‘세덕사(世德祠)’가 있다. 담장 밖 돌길을 따라 조금 더 걸으면 세종 때 삼정승(황희·맹사성·권진)이 함께 아홉 그루의 느티나무를 심었다고 전해져 이름 붙은 ‘구괴정(九槐亭)’에 닿는다. 공간마다 스민 사연을 찬찬히 더듬어도 많은 체력을 요하지 않는 동선이라, 천천히 걸으며 사색을 즐기기 좋다.

 

특히 가을이면 고택 마당에서 바로 마주 보이는 배방산이 울긋불긋 물든다. 고즈넉한 한옥 처마 아래, 단풍 든 배방산과 은행나무를 바라보는 시간은 이 계절에만 누릴 수 있는 작은 호사다.

 

고택을 한 바퀴 둘러본 뒤에는 맞은편에 자리한 고불맹사성기념관을 들러보자. 맹사성의 일대기와 유물, 그와 관련된 여러 설화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이곳에는 신창맹씨 대종회로부터 2018년 기탁받은 맹사성의 유품이 전시돼 있는데, 이 가운데 단연 눈에 띄는 것은 백옥으로 만든 횡피리다. 평생 가마 대신 검은 소를 타고 다니며 피리 부는 것을 즐겼다는 맹사성의 일화가 자연스럽게 떠오른다. 기념관 공원에는 소를 타고 피리를 부는 맹사성 동상도 세워져 있다.

 

기념관에서는 오는 11월 30일까지 ‘신창맹씨 온양댁’ 특별전이 열리고 있다. 2025~2026 아산 방문의 해를 맞아 대전시립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던 유물들을 대여해 선보이는 전시다.

 

전시 유물은 2011년 대전 유성구 안정 나씨 종중 묘 이장 과정에서 발견됐다. 명정에 적힌 ‘신창맹씨’라는 이름과 함께 출토된 여러 물품을 통해, 조선 초기 군관이었던 나신걸(羅臣傑, 1461~1524)에게 시집간 맹사성의 증손 맹석경의 딸 묘로 밝혀졌다.

 

이번 전시의 백미는 한글 편지다. 현재까지 나온 한글 편지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이다. 영안도(함경도)에서 근무하던 군관 나신걸이 집에 돌아가지 못하는 마음을 담아 맹씨 부인에게 보낸 것으로, 훈민정음 반포 불과 40여 년 뒤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한글이 조선인의 일상 언어로 빠르게 자리 잡았음을 보여주는 희귀 자료로, 학술·역사적으로 높은 가치를 인정받아 2023년 보물로 지정됐다.

 

이 밖에도 짧은 홑저고리, 옅은 하늘색이 남아 있는 솜치마, 옆트임이 있는 무명 바지, 쪽빛 장의 등 조선 전기 여성 복식과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부장품들이 함께 전시된다. 500년 전 한 여성의 일상과 품격, 정서가 옷감과 침구, 생활용품을 통해 만날 수 있다.

 

역사가 숨 쉬는 공간에서 가을의 낭만과 사색을 동시에 누리고 싶다면, 올가을 맹씨행단과 고불맹사성기념관으로 발걸음을 옮겨보는 건 어떨까. 쌍행수와 배방산 단풍이 곱게 물드는 지금, 특별전까지 함께 즐길 수 있어 더없이 풍성한 가을 나들이가 될 것이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