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장혁 천안시의원, 어린이 문화예술 활성화 간담회’개최

기사입력 2025.08.29 20:21

SNS 공유하기

fa tw gp
  • ba
  • ka ks url
    공연 기회 확대·공공시설 개방·지원정책 개선 위한 현장 의견 수렴

    f_포스터.jpg


    [시사캐치] 천안시의회 장혁 의원은 8월 28일(목) 복지문화위원회 회의실에서 「천안시 어린이 문화예술 활성화 간담회」를 주관하며, 어린이와 청소년의 문화예술 참여 확대를 위한 정책적·행정적 과제를 논의했다.

     

    이번 간담회에는 지역 예술가, 학부모, 교사, 청소년기관 관계자 등이 참석해 △어린이 공연 기회의 부족 △공공시설 대관의 제약 △지원정책의 복잡성과 정보 부족 등 현장의 문제점을 공유했다.

     

    특히 솜씨중창단 김다예 단장은 "민간 예술가와 아이들이 무대에 설 기회가 턱없이 부족하다”며 공연 기회 확대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생활밀착형 문화예술 거점 조성·예술가–기관 매칭 플랫폼 구축 등 구체적 대안을 제시했다.

     

    충청예술원 김은주 원장은 국제 음악콩쿠르를 사비로 준비했음에도 교육청 행사 우선 배정으로 공연장 대관에 실패해 서울 공연장을 섭외해야 했던 사례를 소개하며, "수백 명의 참가자가 타지역으로 이동하는 현실은 천안의 문화적 손실”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천안시 아동보육과·문화예술과·교육청소년과 등 행정부서와, 천안시청소년재단(복합커뮤니티센터 관장 포함)·천안문화재단 관계자가 답변자로 나서 △공공시설 대관 현황(공유누리 포털) △어린이꿈누리터 등 일부 공연장 활용 방안 △문화예술단체 지원사업과 청소년 공연 지원 프로그램 등을 적극적으로 설명했다. 다만, 교육청 관할의 공연장 운영 문제 등은 시 차원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음을 함께 확인했다.

     

    장혁 의원은 "오늘 간담회는 현장의 목소리를 단순히 듣는 자리가 아니라, 행정과 의회, 문화재단, 청소년재단이 함께 개선 방안을 찾는 출발점”이라며 "특히 교육청·문화재단과의 역할 분담을 명확히 하고, 시가 주도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현실적 대안을 제도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현재 천안시의 문화예술 지원정책이 주로 성인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어린이 문화예술 분야는 사실상 제도와 정책의 사각지대, 즉 회색지대(Gray area)에 놓여 있다”며 "어린이들이 미래의 문화예술 주역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이 영역에 대해 더욱 깊은 관심과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장 의원은 "아이들이 자유롭게 문화예술을 경험할 수 있는 천안을 만드는 것은 곧 미래에 대한 투자”라며, "오늘 제안된 과제들이 제도적으로 뿌리내릴 수 있도록 시의회 차원에서 행정과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backward top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