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신 의원은 먼저 상수도과 질의에서 "현재 아산시 상수도관 중 PE관이 76.8%를 차지하고 있지만, 정수장에서 배수지까지 물을 운송하는 송수관의 경우 약 75%가 주철관 및 덕타일주철관으로 시공돼 있다” 며, "특히 일부 공사에서는 특정 기업 제품이 반복적으로 사용된 정황이 포착되고 있어, 특정 업체 몰아주기 논란을 피하 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어 "주철관은 고압에 견디는 구조적 강도는 우수하지만, 부식과 노후화에 취약해 장기적으로는 유지보수 비용 증가와 수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산시는 녹 발생이 없고 수명이 긴 신소재 관종 도입에 지나치게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강하게 질타했다.
하수도 분야에서도 신 의원의 지적은 이어졌다. 그는 "하수는 음식물 찌꺼기, 기름, 알칼리 등 부식성이 강한 유체이므로 내부 부식에 강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그럼에도 아산시는 최근 3년간 하수관로 114km 중 17.3%에 해당하는 19.8km를 덕타일주철관으로 시공했다”고 밝혔다.
이는 충남 평균 사용률(4.6%)의 약 4배에 달하는 수치로, 신 의원은 "전국적으로 덕타일주철관 사용이 줄어드는 추세이며, 인근 지자체에서는 사용률이 0%에 가까운 것과 비교하면 아산시는 오히려 시대 흐름을 역행하고 있다” 고 비판했다.
또한 신 의원은 관로 재질 선택이 단순한 시공 단가 문제가 아닌, 장기적인 예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했다. "주철관은 통상 20년 전후로 교체가 필요하지만, 내구성이 우수한 신소재 관은 40년 이상 사용이 가능하다”며, "중장기적으로 수백억 원에 달하는 교체·보수 예산을 절감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외면하는 것은 시민의 세금 낭비와 다를 바 없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신 의원은 "수돗물 안전성과 하수관로 누수, 파손을 예방을 위해서는 초기 시공뿐만 아니라 향후 유지관리와 수명까지 고려한 종합적인 기준 마련이 필수적”이라며, "중장기적인 관로 재질 개선 로드맵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많이본뉴스
많이 본 뉴스
- 1[동정] 김태흠 충남도지사, 4월 16일 충남역사문화연구원 개원 20주년 비전 선포식에 참석
- 2조길연 충남도의회 의장, 5월 14일 충남도서관에서 제23회 식품안전의 날 기념식에 참석.
- 3김태흠 충남도지사, 천안‧아산 소각시설 문제 중재나섰다
- 4대전시, 갑천 둔치 야외 물놀이장 조성 중단
- 5세종시 '이응패스' 모바일 결제 도입
- 6법정관리 묶인 내집 “매달 3억씩 사라져”
- 7충남문화관광재단 낭만 열차, ‘장항선 열차 타고 40, 50년 전 추억 소환’
- 8세종시, 조치원읍 민간임대아파트 과장 광고 주의
- 9[동정] 김태흠 충남도지사, 3월 19일 제350회 도의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에 참석
- 10아산 '아르니 퍼스트' 아파트 건설사 법정관리…입주예정자 협의체 구성
게시물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