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이번 협약은 천안을 중심으로 충남·수도권의 연구개발(R&D)과 기술사업화, 산업지원 역량을 결집해 K-치의학 메가클러스터 혁신축을 강화하고, 국립치의학연구원 천안 설립의 실질적 기반을 다지기 위해 추진됐다.
협약에 따라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은 충남 천안·충북 오송·강원 원주 등 중부권의 연구 및 의료기기 산업축에 판교·광교 테크노밸리 등 수도권의 풍부한 디지털 사업화 역량을 결합하는 핵심 고리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주요 협력 분야는 ▲네트워킹, 세미나 등을 통한 정보·인재 교류 ▲치의학(디지털 덴티스트리 포함) 및 의료기기·바이오 분야 공동과제의 연구개발·실증 협력 검토 ▲규제, 인증, 평가 등 정책·제도 정보 공유 ▲보육, 멘토링, 투자유치설명회(IR), 판로 개척 등 기업·창업지원 연계 ▲컨퍼런스, 전시, 포럼 등 홍보·행사 협력 등이다.
천안시는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이 보유한 기업 기술 지원·사업화, 글로벌 진출 노하우와 지역의 R&D 역량 결합으로 치의학·바이오 기업이 필요로 하는 ‘연구-평가-허가-사업화-수출’ 전주기 지원 모델을 구축해 기업 성장 전반에 실질적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시는 그동안 국립치의학연구원 천안 설립을 지역적 요구를 넘어 국가적 과제로 확장하기 위해 다층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해 왔다.
단국대학교,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 등과 함께 초기 기술개발 및 인증지원 기반을 마련했으며,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원주의료기기산업진흥원 등과의 협력을 통해 연구-산업화-해외진출의 초광역 산업 연계망도 구축했다.
천안은 수도권과 충청권을 연결하는 교통 요충지로서 KTX, SRT, 전철, 고속도로 등 전국 1~2시간 생활권을 갖추고 있으며, 판교·오송·대덕 등 주요 R&D 거점과의 접근성이 뛰어난 최적의 입지를 보유하고 있다.
이번 협약으로 오송-천안-판교-광교로 이어지는 중부권·수도권의 치의학·바이오 초광역 협력벨트가 완성돼, 천안은 치의학 연구·산업의 핵심 거점으로 기능할 수 있는 기반을 공고히 하게 됐다.
천안시는 이번 협력을 계기로 치의학·바이오 산업 생태계를 한층 고도화하고, 국립치의학연구원 천안 설립의 실질적 기반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김석필 천안시장 권한대행 부시장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과의 협력은 K-치의학·바이오산업이 천안을 중심으로 중부권을 넘어 수도권까지 확장되게 됐다”며 "천안은 연구-산업-인재-임상을 연결할 전국 유일의 도시로, 협약을 통해 국가 산업 경쟁력을 높이는 중심축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겠다”고 말했다.
많이본뉴스
많이 본 뉴스
- 1[동정] 김태흠 충남도지사, 4월 16일 충남역사문화연구원 개원 20주년 비전 선포식에 참석
- 2조길연 충남도의회 의장, 5월 14일 충남도서관에서 제23회 식품안전의 날 기념식에 참석.
- 3김태흠 충남도지사, 천안‧아산 소각시설 문제 중재나섰다
- 4대전시, 갑천 둔치 야외 물놀이장 조성 중단
- 5세종시 '이응패스' 모바일 결제 도입
- 6세종시, 조치원읍 민간임대아파트 과장 광고 주의
- 7법정관리 묶인 내집 “매달 3억씩 사라져”
- 8충남문화관광재단 낭만 열차, ‘장항선 열차 타고 40, 50년 전 추억 소환’
- 9[동정] 김태흠 충남도지사, 3월 19일 제350회 도의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에 참석
- 10아산 '아르니 퍼스트' 아파트 건설사 법정관리…입주예정자 협의체 구성

게시물 댓글 0개